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포스트: 'tanstack query를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게시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D0Dam committed Mar 31, 2024
1 parent b889353 commit 23a7abc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2 changed files with 315 additions and 1 deletion.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vscode/settings.jso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5 +6,5 @@
"prettier.singleQuote": true,
"prettier.tabWidth": 2,
"prettier.trailingComma": "all",
"cSpell.words": ["dotenv", "postcss", "stylelint", "stylelintrc", "Vite"]
"cSpell.words": ["dotenv", "postcss", "stylelint", "stylelintrc", "tanstack", "Vite"]
}
314 changes: 314 additions & 0 deletions blog/react/tanstack-query-options.mdx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14 @@
---
date: 2024-03-31
authors: d0dam
title: 'tanstack query를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
description: '회사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tanstack query의 구조를 개선하면서 들었던 고민과 해결 방법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keywords: ['React', 'react 지도', 'react memo', 'memo', '메모이제이션']
tags:
- React
---

회사에서 지금까지 사용한 tanstack query의 구조를 개선하면서 들었던 고민과 해결 방법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truncate-->

글은 tanstack query의 기본 개념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작성하였습니다.

## 비동기 상태 관리에 대한 생각

[tanstack query](https://www.npmjs.com/package/@tanstack/react-query)는 비동기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합니다.
어쩌면 요즘 프론트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라고 이야기해도 무방할 정도로 많은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고 있죠.
지표가 프론트 개발에 있어 비동기 상태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생각입니다.
저는 프론트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비동기**와 **상태 관리**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비동기 상태를 어떻게 보여줄지를 놓을 없는 같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좋은 경험을 위해 디테일하게 코드를 작성하게 됩니다.
기본 구조가 좋지 않으면 개발자는 코드 유지보수가 점점 힘들어지고 재활용하기도, 읽기도 많이 불편할겁니다.

## 앞으로를 위해

저희 회사에서도 react 기반에 tanstack query v4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구조 자체가 확실히 잡혀 있지 않았습니다.
필요할 때마다 가져다 탓일까요?
어떤 비동기 상태는 훅으로 묶여있기도 하고, 어떤 비동기 상태는 `axios apiClient`로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api 요청 로직과 tanstack query, 그리고 커스텀 훅까지 갖는 서로간의 의존성도 강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요구사항이 나올 때마다 동일한 api를 사용하더라도 api로직부터 새로 작성해야 되죠.

비동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도입한 tanstack query일텐데, 장점을 전혀 살리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래서 tanstack query v5를 도입하면서 버전업도 하고, 구조를 팀원들과 같이 잡아보기로 했습니다.

## query key 관리

:::note 참고

사실, tanstack query를 사용하면서 많은 부분이 api 요청을 위해 쓰입니다.
그래서 api 함수 형식부터 구조를 잡고 갔습니다.
이번 블로깅에 같이 작성하기에는 내용이 커질 같아 추후 따로 블로깅 해보겠습니다.

:::

[`query key factory`](https://tkdodo.eu/blog/effective-react-query-keys) 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tanstack query에서 query key는 특정 query에 대한 고유 의존성을 있습니다.
그리고 query key는 필수값이죠.

대체적으로 query key에 변동을 주어 query function을 재호출하거나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사용해 특정 키에 해당하는 queries를 무효화 해주기도 합니다.
맞습니다. 마치 `useEffect`의 의존성과 같이 동작합니다.
query function이 많아질 때마다 고유의 query key가 많아지게 됩니다.
어떤 문제가 생길가요?

- 중복되면 안되는 query key가 중복될 있습니다.
- 같은 query key를 사용해야해도 똑같이 일일히 적어주어야 합니다.
- 특정 query function을 초기화 하고 싶을 query key를 계속 찾게 되면 수고스러움이 있습니다.

`query key factory`는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 query key 나누기

이전에 회사 프로젝트에 쓰인 query key는 특정 기준 없이 처음 사용하는 인원이 작성했기 때문에 불안정했습니다.
그래서 query key factory를 만들기 앞서, query key를 어떻게 나눌 건지 팀에 확실히 알려줄 필요가 있었습니다.

query key가 길어지는 대부분의 경우가 api 호출이기 때문에 api 호출을 예시로 들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api url은 query key를 작성할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ts title="course"
const course = 'https://examaple.com/course';
const courseDetail = 'https://examaple.com/course/:id';

const courseQueryKeys = ['course'];
const courseDetailsQueryKeys = (id) => ['course', id];
```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는 어떻게 할까요?

```ts title="courseLecture"
const courseLecture = 'https://examaple.com/course/:id/lecture/:id?sort=new&type=selling&page=0&size=10';
```

바로 어떻게 나눌지 감이 왔을까요?
크게 query key에 글어갈 값을 3가지로 나누어 있습니다.

1. url에 포함된 연관있는 도메인명: 'course', 'lecture'
2. id: 'courseId', 'lectureId'
3. query params: 'sort', 'type', 'page', 'size'

1, 2번째의 경우는 차례대로 query key 배열에 포함시키면 같습니다.
3번째의 경우는 객체로 관리해 query params 각각이 고유의 key가 되지 않도록 했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query key를 정리할 있을 같습니다.

```ts title="courseLecture"
const courseLecture = 'https://examaple.com/course/1/lecture/2?sort=new&type=selling&page=0&size=10';
const courseId = 1;
const lectureId = 2;
const queryParams = {
sort: 'new',
type: 'selling',
page: 0,
size: 10,
};

const courseLectureQueryKeys = (courseId, lectureId, queryParams) => [
'course',
courseId,
'lecture',
lectureId,
queryParams,
];
```

이제 도메인에 대해 아래와 같이 query key만을 별도 객체로 모아 관리를 있습니다.

```ts title="course query key factory"
const courseKeys = {
all: ['course'] as const,
detail: (courseId: number) => ['course', courseId] as const,
lectures: (courseId: number) => [...courseKeys.detail(courseId), 'lecture'] as const,
// queryParams의 경우 안의 값이 optional 일지 아닐지에 대해 꼭 안넘겨 주어도 될 수 있습니다.
lectureDetail: (courseId: number, lectureId: number, queryParams: LectureParams) =>
[...courseKeys.lectures(courseId), lectureId, { queryParams }] as const,
};
```

## 구조 잡기

이제 query factory도 만들었으니 구조를 잡아봅시다.

모든 비동기 상태에 대해 훅으로 묶어주기로 했습니다.

```ts title="useCourseQuery.ts"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getCourse } from '@/apis/course';
import { courseKeys } from '@/hooks/query/keyFactory/courseKeys';

function useCourseQuery() {
const course = useQuery({
queryKey: courseKeys.all,
queryFn: getCourse,
});

return course;
}

export default useCourseQuery;
```

파일 이름은 `use~~~Query`, `use~~~Mutation` 으로 통일하기로 했습니다.

회사의 경우 같은 비동기 상태들을 admin이나 개편 페이지 제작에도 동일하게 많이 사용하는 편이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추후에도 따로 분리해서 사용할 있도록 root의 `hooks/queries` 폴더에두고 폴더에 `queryFactory`를 두었습니다.

아래와 같은 구조가 되겠네요!

```
└── 📁hooks
└── 📁queries
└── 📁keyFactory
└── courseKeys.ts
└── useCourseQuery.ts
└── useCourseMutation.ts
```

이제 특정 query를 사용할 필요한 훅을 가져와 쓰면 되겠네요!

```tsx title="Course.tsx"
import CourseItem from '@/components/CourseItem';
import useCourseQuery from '@/hooks/queries/useCourseQuery';

function Course() {
const { data: course } = useCourseQuery();

return <CourseItem {...course} />;
}

export default Course;
```

## 아쉬움, 고민

구조를 잡고 들여오면서 몇일 사용해 결과, 아쉬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 query key와 query key를 사용하는 훅이 응집력을 가져도 좋았을 같습니다.
- query key와 훅이 별도의 폴더와 파일로 분리되어 있어서 co-location을 이루지 못한 같습니다.
- 하나의 비동기 상태에 대해 useSuspenseQuery와 useQuery, useQueries, prefetch 등의 메서드를 선택적으로 쓰기 힘듭니다.
- 처음부터 특정 비동기 상태에 대한 훅을 만들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 현재의 구조는 tanstack query v5로 올린 의미가 없는 형태라고 느껴졌습니다.
- v5의 최대 변화점은 여러 인자들이 객체로 넘기게끔 변했다는 점입니다. 점을 제대로 활용해보지 못한 같습니다.

> '아예 특정 query를 넘기기 위한 객체 인자들을 묶어주면 어떨까?'

찾아보니, 떡하니 있더군요.🥲 바로 [`query options`](https://tanstack.com/query/v5/docs/framework/react/reference/queryOptions)입니다.

## query options

query options는 특정 query 메서드에 대한 인자 객체를 정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ts title="courseQueryOptions.ts"
import { queryOptions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courseQueryOptions = queryOptions({
queryKey: ['course'],
queryFn: getCourse,
});
```

이게 위에서 말한 문제들을 해결해 줄까요? 한 번 확인해 봅시다.

- query key와 query key를 사용하는 훅이 응집력을 좀 더 가져도 좋았을 것 같습니다.

-> 이제 query key를 따로 분리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같은 객체에 선언해 놓을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ts title="courseQueries.ts"
import { queryOptions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type { CourseListParams } from '@/types/course/remote';

const courseQueries = {
allKeys: ['course'] as const,
all: () =>
queryOptions({
queryKey: courseQueries.allKeys(),
queryFn: () => getCourse(),
}),
listKeys: (params: CourseListParams) => [...courseQueries.allKeys(), params],
list: (params: CourseListParams) =>
queryOptions({
queryKey: courseQueries.listKeys(params),
queryFn: () => getCourseList(params),
}),
};
```

- 하나의 비동기 상태에 대해 useSuspenseQuery와 useQuery, useQueries, prefetch 등의 메서드를 선택적으로 쓰기 힘듭니다.

-> 사실 이제 훅을 만들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Mutation을 훅으로 만든다면 만들 수 있겠지만 이제 필요한 곳에서 특정 queryOptions를 꺼내 사용하면 됩니다.

```tsx title="Course.tsx"
import CourseItem from '@/components/CourseItem';
import { us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function Course() {
const { data: course } = useQuery(courseQueries.all());
// 이제 이렇게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 const { data: course } = useSuspenseQuery(courseQueries.all());

return <CourseItem {...course} />;
}

export default Course;
```

- 현재의 구조는 tanstack query v5로 올린 의미가 없는 형태라고 느껴졌습니다.

-> 이제 queryOptions를 활용해 인자를 객체로 관리하면서 버전업에 대해 의미를 둘 수도 있겠네요!

## 다시, 구조 잡기

변한 형식에 따라 구조를 새로 잡아봅시다.
사실, 객체로 비동기 상태 로직을 관리하게 되면서 훅과의 의존성도 끊어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root에 이 query 만을 관리하는 폴더를 둘 수 있게 되었죠.

```title="root/src"
└── 📁queryFactory // queries도 좋아 보입니다.
└── alarmQueries.ts
└── classroomQueries.ts
└── courseQueries.ts
└── userQueries.ts
```

각각의 queries 들은 tanstack query v5를 사용하는 어디에서든지 자유롭게 꺼내 쓸 수 있게 독립된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 이런건 안되는거 아닌가요?

이 구조를 사용하다 보니 팀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나오더군요.

:::tip

> Q: useInfinityQuery를 사용할 땐 queryOptions를 사용할 수 없어요..!
A: [infiniteQueryOptions](https://tanstack.com/query/v5/docs/framework/react/reference/infiniteQueryOptions)도 있답니다!

:::

:::tip

> Q: Mutation도 객체로 묶어서 관리할 수 없을까요?
A: 이건 좀 다른 이야기 같습니다.
mutation의 경우 촉발 메서드가 `useMutation`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다른 mutation 기능 간에도 옵션이 같을 수가 없죠.
때문에 굳이 옵션을 공유할 일이 없지 않을까요?
같은 mutation을 여러 군데에서 사용한다면 해당 mutation을 훅으로 묶어주면 됩니다.
:::

## 마무리

이렇게 비동기 상태에 대한 구조를 완전히 바꾸어서 도입을 해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대만족! 입니다. 개발자 경험 특면에서도 앞으로도 이용 가능한, 한 눈에 보기 쉬운 구조여서 좋았습니다.
특히 queryOptions를 가지고 어떤 메서드를 사용할 지 열리게 둔 점이 앞으로의 ui를 그릴 때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tanstack query를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에 대한 질문이 조금이나마 해소 되었기를 바랍니다.

0 comments on commit 23a7abc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