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집에서 학습하시는 분들은 '내 친구 커맨드 라인를 소개합니다' 영상을 보세요.
벌써부터 기대되지 않나요? 바로 일 분안에 여러분도 코딩 할 수 있어요!
여러분에게 첫 번째 친구를 소개합니다. 바로, 커맨드 라인(command line) 입니다!
해커들이 사용하는 까만 윈도우 창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여드릴 거에요. 처음에는 이 검은색 창이 무서워 보일 수도 있지만, 명령어를 기다리는 아이일 뿐이에요.
Note 이 설명서에서 '디렉토리(directory)'와 '폴더(folder)' 모두 같은 뜻입니다.
**커맨드 라인(command line)**은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 cmd, CLI, 프롬프트(prompt), 콘솔(console), 터미널(terminal) 라고도 불리는 텍스트 기반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 보기, 처리, 조작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익스플로러나 맥OS의 파인더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없어요.
커맨드 라인을 열어 몇 가지 실습해봅시다.
시작메뉴로 가서 → 모든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 터미널.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터미널을 실행하면 될 거에요. 하지만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니 구글에서 찾아보세요.
이제 까만 배경이나 하얀 배경의 윈도우가 뭔가를 지시해주길 기다리고 있을 거에요.
맥이나 리눅스의 경우, 이런 $
기호가 보일 거예요 :
$
윈도우의 경우, 이런 >
기호가 보일 거에요 :
>
각 명령어는 접두어로 위와 같은 기호와 공백 한 칸이 붙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입력할 필요는 없어요. 컴퓨터가 대신 해줄 거예요 :)
잠깐만요 : 상황에 따라 프롬트 기호 앞에
C:\Users\ola>
혹은Olas-MacBook-Air:~ ola$
같은 것이 보일 수 있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아주 잘 동작하는 거랍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간략히 작성한 거에요.
쉬운 것 부터 시작할게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보세요 :
$ whoami
또는
> whoami
그리고 enter
를 누르세요. 다음과 같이 보일 거에요 :
$ whoami
olasitarska
컴퓨터는 사용자 이름을 스크린에 보여줍니다. 이거 좀 괜찮죠? :)
복사 붙여넣기 하지 말고, 직접 입력해 보세요. 더 잘 외워질 거예요!
각각의 운영체제에 따라, 명령어들이 조금씩 다를 수도 있으니까, 여러분의 운영체제에 해당하는 설명을 따라주세요. 그럼 같이 해볼까요?
현재 어느 디렉터리에 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를 눌러보세요.
맥 :
$ pwd
/Users/olasitarska
윈도우 :
> cd
C:\Users\olasitarska
위와 비슷한 결과가 출력되었을 거예요. 커맨드라인을 열면, 항상 Home
디렉터리에서 시작합니다.
Note: 'pwd' 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이에요.
디렉토리에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이렇게 입력하세요.
맥 :
$ ls
Applications
Desktop
Downloads
Music
...
윈도우 :
> dir
Directory of C:\Users\olasitarska
05/08/2014 07:28 PM <DIR> Applications
05/08/2014 07:28 PM <DIR> Desktop
05/08/2014 07:28 PM <DIR> Downloads
05/08/2014 07:28 PM <DIR> Music
...
자, 바탕화면 디렉터리로 가볼까요 :
맥 :
$ cd Desktop
윈도우 :
> cd Desktop
변경되었는지 확인합시다.
맥 :
$ pwd
/Users/olasitarska/Desktop
윈도우 :
> cd
C:\Users\olasitarska\Desktop
맞군요!
전문가 팁 :
cd D
까지 입력하고tab
(탭) 키를 누르면, 커맨드 라인이 자동으로 나머지 부분을 완성해주어, 입력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요. "D"로 시작하는 폴더가 2개 이상일 경우,tab
(탭) 키를 두 번 누르면, 해당하는 폴더들을 모두 보여줍니다.
바탕 화면에 practice
디렉터리를 만들어 볼까요? 이렇게 하면 됩니다.
(되도록 폴더명은 한국어 대신 영어로 작성하는 것이 좋아요 - 장고걸스서울)
맥 :
$ mkdir practice
윈도우 :
> mkdir practice
이 간단한 명령어로, 바탕화면에 practice
폴더를 만듭니다. 바탕화면에서 직접 보거나, 명령어 ls
혹은 dir
을 실행해서 확인할 수 있어요! 한 번 해보세요.
전문가 팁 : 같은 명령어를 여러 번 반복해 입력하고 싶지 않다면, 키보드
위 화살표
와아래 화살표
를 누르세요. 최근 사용한 명령어들을 볼 수 있어요.
연습 과제를 드릴게요. 새로 만든 practice
디렉터리 안에 test
라는 이름의 디렉터리를 만들어 보세요. 명령어 cd
와 mkdir
을 사용하세요.
맥 :
$ cd practice
$ mkdir test
$ ls
test
윈도우:
> cd practice
> mkdir test
> dir
05/08/2014 07:28 PM <DIR> test
축하합니다 :)
지금까지 연습한 내용을 모두 지워봅시다!
우선, 바탕화면으로 돌아가야해요.
맥 :
$ cd ..
윈도우 :
> cd ..
..
과 cd
명령은 현재 디렉터리에서 부모 디렉터리(현재 디렉터리 레벨보다 상위인)로 보내줄겁니다.
현재 위치를 확인해 보세요.
맥 :
$ pwd
/Users/olasitarska/Desktop
윈도우 :
> cd
C:\Users\olasitarska\Desktop
이제 practice
디렉터리를 삭제해봐요.
Note:
del
,rmdir
,rm
을 사용하여 파일을 지우면, 재복구가 불가능합니다. 지워진 파일들을 영원히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니, 이 명령어들은 꼭 주의해서 사용하세요.
맥 :
$ rm -r practice
윈도우 :
> rmdir /S practice
practice, Are you sure <Y/N>? Y
완료되었습니다! 완전히 삭제되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맥 :
$ ls
윈도우 :
> dir
여기까지 입니다! 이제 커맨드 라인을 닫으세요. 해커 스타일로 해볼까요, 괜찮죠?:)
맥 :
$ exit
윈도우 :
> exit
멋지지 않나요? :)
아래 유용한 명령어를 모았습니다.
명령어(윈도우) | 명령어(맥 OS/리눅스) | 설명 | 예시 |
---|---|---|---|
exit | exit | 창을 닫는다 | exit |
cd | cd | 디렉터리를 변경한다 | cd test |
dir | ls | 디렉터리 혹은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 dir |
copy | cp | 파일을 복사한다 | copy c:\test\test.txt c:\windows\test.txt |
move | mv | 파일을 이동한다 | move c:\test\test.txt c:\windows\test.txt |
mkdir | mkdir | 새 디렉터리를 만든다 | mkdir testdirectory |
del | rm | 디렉터리 혹은 파일을 지운다 | del c:\test\test.txt |
지금까지 커맨드 라인 명령어 일부를 알아보았어요.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코딩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더 알고 싶다면, ss64.com에서 각 운영체제별로 정리된 명령어 모음을 볼 수 있어요.
이제 파이썬의 세계로 빠져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