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시스템을 색상을 위주로 하여 만들 수 있다.
- 21.04.01 ~ 21.04.22 (총 3주)
- 1인 프로젝트
- React.js
- mobx
- styled-components
- react-router-dom
- react-beautiful-dnd
- react-syntax-highlighter
- react-select
- react-scroll
- 색상을 선택하거나 랜덤으로 생성할 수 있다.
- 만든 색상의 이름이나 색상을 수정, 삭제 할 수 있다.
- 색상의 hex를 간단하게 복사할 수 있다.
- 드래그 & 드랍으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palette
에 있는 색상끼리 섞어서 새로운 색상을 만들 수 있다.mixin
에 저장한 이름으로palette
에 저장할 수 있다.
- 카드의 셋팅을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다.
palette
에 있는 색상으로 옵션을 꾸밀 수 있다.- 만든 카드의 셋팅의 코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 버튼 색상의 명도에 따라 버튼의 글자색이 흰색과 검정색으로 바뀐다.
설정한 옵션들을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하며, 재방문 시 옵션을 가져온다.
palette
에 있는 색상의 역할을 지정할 수 있다.
palette
에 있는 색상을 선택하여 글자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설정한 옵션들을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하고, 가져올 수 있다. 전체 코드
saveList() {
const baseColorList = this.baseColorList.map((item) => ({
hexId: item.hexId,
label: item.label,
role: item.role,
}));
localStorage.setItem('baseColorList', JSON.stringify(baseColorList));
}
loadList() {
const list = localStorage.getItem('baseColorList');
const dataList = JSON.parse(list);
if (!dataList) return;
this.clearList();
for (let i = 0; i < dataList.length; i++) {
const { role, label, hexId } = dataList[i];
this.addNewBaseColor(hexId, label, role);
}
}
parallex effect의 기본개념을 활용하여 작성함.
window.scrollY
의 값이 특정 구간일 때만 position: fixed
가 되게 하기 위해, isSticky
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className으로 속성을 변경하였다.
또한 visibility
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효과를 주었다.
visibility
라는 변수가 없을 경우, 자연스럽게 사라지지않고 뚝 없어진다.
const Section3 = ({ history }) => {
const [isSticky, setIsSticky] = useState(false);
const [visibility, setvisibility] = useState(true);
const onSticky = () => {
let offset = window.scrollY;
let height = window.innerHeight;
if (offset < height * 2) setIsSticky(false);
if (offset >= height * 2) setIsSticky(true);
if (offset > height * 3) setIsSticky(false);
if (offset > height * 2.7) setvisibility(false);
if (offset <= height * 2.7) setvisibility(true);
};
useEffect(() => {
window.addEventListener('scroll', onSticky);
return () => {
window.removeEventListener('scroll', onSticky);
};
}, []);
return (
<BasicContainer>
<TitleContainer
className={`${isSticky && 'fixed'}`}
style={{ opacity: visibility ? 1 : 0 }}
>
<BlueGradation />
<MainTitle small>
<span>더이상 시간을 낭비하지 마세요.</span>
</MainTitle>
<SubText subSmall>
<span>색상을 쉽게 고르고 저장하세요.</span>
<span>한번 저장해둔 셋팅을 불러와서 다시 사용 할 수 있습니다.</span>
</SubText>
<Button primary onClick={() => history.push('/main')}>
바로 시작하기
</Button>
</TitleContainer>
</BasicContainer>
);
};
스타일드 컴포넌트의 코드.
export const TitleContainer = styled.div`
position: relative;
padding: 2rem;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align-items: flex-start;
justify-content: flex-start;
width: 100%;
height: 100%;
transition: opacity 0.5s ease;
overflow: hidden;
&.fixed {
position: fixed;
top: 0;
z-index: 10;
@media screen and (min-width: 768px) {
top: 80px;
}
}
`;
반복하여 사용하는 컴포넌트가 있을 경우, 관리하기 쉽게 따로 상수로 빼놓았다.
const SELECT_LIST = [
{ label: '제목 색상', value: 'headColor' },
{ label: '내용 색상', value: 'contentColor' },
{ label: '버튼 색상', value: 'buttonColor' },
];
const SLIDER_LIST = [
{ label: '버튼 라운드 값', name: 'buttonRadius' },
{ label: '카드 라운드 값', name: 'borderRadius' },
];
const SetColorsList = ({ isOpen }) => {
return (
<>
{isOpen && (
<OptionContainer>
{SELECT_LIST.map((item) => (
<SelectModule
label={item.label}
value={item.value}
key={item.value}
/>
))}
<SetButtonHover />
{SLIDER_LIST.map((item) => (
<CardSlider label={item.label} name={item.name} />
))}
</OptionContainer>
)}
</>
);
};
mixin의 option 창은 처음, 중간, 마지막의 색상만 열 수 있다.
indexLog
라는 stack
을 만들어, 클릭한 색상의 index
를 기록했다.
indexlog
와 다른 index일 경우 옵션창을 열었다.
색상을 선택했을 때 indexLog
와 해당 색상의 index
를 비교하여 같은 index
일 경우 옵션창을 닫았다.
const openOptions = (index) => {
if (index === 1 || index === 3) return null;
if (index !== indexLog) {
setIndexLog(index);
setIsOptionOpen(true);
}
if (index === indexLog) {
setIndexLog('');
setIsOptionOpen(false);
}
};
목적은 처음, 중간, 마지막의 색상만 옵션 버튼
이 나오는 것.
onHover함수에서 요소의 index를 판단하여 특정 index
일 경우에만 isHover
의 상태를 변경했다. isHover
이 true일 경우 hover
라는 클래스 이름을 주었고, .hover
의 css는 opacity: 0
에서 opacity:1
로 변경된다.
const SmallMixin = observer(({ smallColor, index, open }) => {
const [isHover, setIsHover] = useState(false);
// 아래 3줄은 커스텀 훅으로 만든 색상 관련 함수
const { getColor, getBorderColor } = useContrast();
const bordercolor = getBorderColor(smallColor);
const buttonColor = getColor(smallColor);
const onHover = (value) => {
if (index === 1 || index === 3) return null;
else setIsHover(value);
};
return (
<ColorBox
onMouseOver={() => onHover(true)}
onMouseLeave={() => onHover(false)}
hexId={smallColor}
borderColor={bordercolor}
onClick={() => open(index)}
>
<SmallButton
mixin
buttonColor={buttonColor}
className={`${isHover && 'hover'} mixin`}
title='색상 수정하기'
>
<CgOptions />
</SmallButton>
</ColorBox>
);
});
palette
메뉴에서 모달을 통해 색상과 색상의 이름을 수정함.
컬러칩 모듈
컴포넌트 내에서 제일 윗줄에 모달 관련 코드를 작성함.- 첫번째
컬러칩 모듈
컴포넌트의 모달은 그렇지 않지만, 나중에 작성한 컬러칩 모듈에서 생성된 모달일 수록 모달 내부가 투명해짐. z-index
를 9999 로 주어도 해결이 되지 않음.
z-index
에 대해 다시 알아봄.
- 공부해보니
z-index
는 부모요소에 관련을 받는거지, body기준에서의z-index
가 아니라는 것. - 따라서 모듈 내부에 있던 모달은, 모듈들이 많아 질수록 z-index가 뒤로 밀려서 투명해 보일 수 밖에 없었던 것.
- 모달을
palette
모듈 내에 두지 않고 훨씬 상위 컴포넌트인color section
에 두었고,mobx
로 모달의 열림과 닫힘을 관리하여 문제를 해결함.
- 첫번째 문제를 해결하니, 하나의 모달에서 색상 추가와 수정을 관리해야함.
- 추가인지 수정인지를 모달 내에서 판별해야함.
- 전역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인
mobx
를 이용함. - 색상을 수정하는 경우, 원본 색상 관련 정보를
payload
로 전달함. - 모달 컴포넌트 내부에
payload
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함수를 작성하여 수정인지 추가인지를 구분함.
const SubmitHex = () => {
const [label, setLabel] = useState('');
const [hexId, setHexId] = useState('#F2F3F5');
const { payload } = openModalStore;
// 수정인지 추가인지 판단하여 default값으로 전달
useEffect(() => {
if (payload) {
setHexId(payload.hexId);
setLabel(payload.label);
}
}, [payload]);
const handleColor = useCallback((color) => {
setHexId(color.hex);
}, []);
const handleSubmit = useCallback(
(e) => {
e.preventDefault();
// 수정인지 추가인지 판단하여 다른 함수를 사용
if (payload) {
const { id } = payload;
colorChipListStore.modifyColorChip({ id, label, hexId });
}
if (!payload) colorChipListStore.addColorChip({ label, hexId });
openModalStore.setModalOpen(false);
},
[hexId, label, payload]
);
동일한 색상으로 리스트를 만들고, 그후 색상을 변경하면 5개가 아닌 9개의 색상 리스트가 생성됨.
-
mixin의 5개의 색상 리스트의
key
를 색상의 hex로 주었기 때문. -
map의 index를 활용하여
key
를 판별력 있게 만듦. 물런 이건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고, 미봉책일 뿐이지만 해당 리스트의 요소의 순서를 변경할 것이 아니기때문에 간단하게 처리함.
{
item.listOfColors?.map((smallColor, index) => (
<SmallMixin
key={smallColor}
smallColor={smallColor}
index={index}
open={openOptions}
/>
));
}
{
item.listOfColors?.map((smallColor, index) => (
<SmallMixin
key={`${smallColor}_${index}`}
smallColor={smallColor}
index={index}
open={openOptions}
/>
));
}
이전 프로젝트에서도 생각했지만... 기획부터 자세히 잡았어야 했는데
, 라는 후회가 많이 남는 프로젝트였습니다. (이래서 사람들이 스토리보드를 쓰는 걸까요)
mobx를 배운 김에 mobx를 쓰는 아주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자!
라는 아주 가벼운 생각을 하고..., 기획도 안하고 코드부터 짜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욕심이란 무서운게, 가볍게 하자고 생각했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게 되면서, 작업기간도, 작업내용도, 코드도 길어지게 되었습니다. 😨
그러다보니 일단 컴포넌트를 작성하고 나중에 수정하고, 다음에 또 수정하는 반복을 거쳤습니다. 😥 처음부터 계획을 꼼꼼하게 세웠다면, 컴포넌트를 지금보다 더 활용성 높게 만들 수 있을 거 같단 아쉬움이 듭니다. 그리고 작업기간도 지금보다 확 줄어들었겠죠..😂
코드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react의 key
라던가, z-index
같은 아주아주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react의 key
는 이론 상으로만 알게 된 것을, 실제로 왜 key를 정말 써야만 하는지 두눈으로 확인하는 계기였습니다.이전까지는 그냥 key 쓰라고 하니까 쓴 것 뿐이었거든요.
그 외에는 확실히 이전 프로젝트인 k-pop master보다는 코드 짜는 실력이 늘었다고, 스스로에게 칭찬하고 싶습니다. ✨✨ 조금 더 멀리 보는 시야로 재사용 가능성을 생각하게 되었고, 리팩토링도 쉽게 작성했거든요.
위의 것들을 문제 해결 경험으로 쓸만큼 특별히 어려운 코드가 없었습니다. 😂
k-pop master
때와는 달리 오히려 코드를 짧고 효율적으로, 완성도 높게 쓰는거에만 더 집중할 정도였습니다.🤔
예를 들면 es6의 destructuring을 자연스럽게 자주 활용하게 되었단 점! 알고만 있는 것, 활용하려고 노력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물쓰듯이 자주 쓰게 됐다는 점이... 제가 성장했다고 생각합니다. 😂
사실 뭐, 그렇게 복잡하지 않은 프로젝트라서 그런걸 수도 있고요.🤔
이번에 처음 사용하게 된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인 mobx
는 아주아주 쉽고, 재밋고, 관리하기도 쉽다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만약 다음에 또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mobx
를 사용하고 싶을 정도에요.
개인적으로는 useContext
보다 더 쉽고 쓰기 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